|
대전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8월 23일 무선충전 기술을 도입한 미래형 친환경 버스인‘올레브(On-Line Electronic Vehicle)’시범운행을 위한 개통식을 갖고 24일부터 본격운행 한다고 밝혔다
개통식은 허태정 대전시장, 임혜숙 과기정통부장관, 조승래 국회의원, 권중순 대전시의회 의장을 비롯,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강병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이광형), 유성구청장, 유성구의회 의장, 온천2동ㆍ신성동 주민, 카이스트 학생 등이 참석하여 대덕특구 순환버스 개통을 축하하고 시승식도 함께했다.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사업 중 한 분야인 무선충전 전기버스는 대전시와 과기정통부에서 공동으로 지원한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향후 2년간의 시범운행 기간 동안 기술적 이슈와 시민 편의성 등을 검증하게 된다.
올레브에 적용된 무선충전 기술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자체 개발한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기버스에 무선충전장치(수신부)를 부착, 버스정류장 하부에 무선충전기(송신부)를 매설하고, 85kHz 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버스정류장 진입 전후와 정차 시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다.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 심의(‘20.9.23)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 순환 전기버스 노선 중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버스정류장 2곳에서 전기버스 무선충전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를 부여받은바 있다.
|
유선충전 방식과 달리 별도의 충전시설 설치나 연결부품(커넥터) 추가 설치 없이 1대 다수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선(케이블)이 땅 속에 매설되어 있어 안전성과 부지활용 면에서도 여느 교통수단보다 우수하다.
이번에 운행되는 무선충전 전기버스는 1시간에 150kW 충전, 150km를 주행할 수 있으나, 대덕특구 순환노선에서는 버스기사의 휴게시간인 20분 동안 50kW를 충전하여 23.5km를 달리게 된다.
대전시는 개통식 다음날인 8월 24일부터 카이스트~대덕특구 출연연~DCC~도시철도역(월평,유성온천,구암)을 잇는 대덕특구 순환 노선을 2년간 시범 운행한다.
첫 차는 아침 6시, 막차는 밤 10시이며 요금은 일반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1,250원(청소년 750원, 어린이 350원)이고 교통카드만 이용 가능하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무선충전 전기버스는 단순한 대중교통의 기능보다는 대한민국의 핵심성장동력인 대덕특구에서 개발된 무선충전기술을 실증화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우리지역에서 개발된 미래기술이 대전을 넘어 전국으로 그리고 세계로 확장될 수 있도록 미래형 친환경 교통수단인 올레브에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Reporter Jeong-Hwan KIM
[Daedeok Innopolis Circular Bus ‘OLEV’ starts operating on the 24th]
Daejeon City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ld an opening ceremony for the pilot operation of the 'On-Line Electronic Vehicle', a futuristic eco-friendly bus that introduced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on August 23 and started on the 24th. said to run
The opening ceremony included Daejeon Mayor Heo Tae-jung,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er Lim Hye-sook, National Assemblyman Cho Seung-rae, Daejeon City Council Chairman Kwon Jung-soon, Chairman Kang Byung-sa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President (Lee Kwang-hyung), Yoo Seong-gu President, Yuseong-gu Council Chairman, Onsen Residents of 2-dong and Sinseong-dong, KAIST students, etc. attended to celebrate the opening of the Daedeok Innopolis Circulation Bus and also held a test ride ceremony.
The wireless charging electric bus, one of the leading projects for the re-creation of Daedeok Special District, was promoted as part of the 'Daedeok Science and Culture Street Creation Project' jointly supported by Daejeon City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Convenience will be verified.
Th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applied to Olev is a magnetic resonance method developed by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It is a technology* that uses a frequency to wirelessly charge before and after entering a bus stop and when stopping.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regulatory sandbox deliberation (September 23, 2020), special cases for demonstration of electric bus wireless charging service at two bus stops within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mong circular electric bus routes in Daedeok R&D Special Zone has been granted
Unlike the wired charging method, it is possible to charge multiple units one by one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charging facility or additional connection parts (connectors), and the power supply line (cable) is buried in the ground, so it is superior to other transportation methods in terms of safety and site utilization. .
The wireless charging electric bus operated this time can be charged with 150kW and can travel 150km in one hour, but on the Daedeok Innopolis loop route, it will run 23.5km by charging 50kW during the bus driver's break time for 20 minutes.
From August 24, the day after the opening ceremony, Daejeon City will pilot the Daedeok Special District circulation route linking KAIST - Daedeok Special District Yeongyeon - DCC - Urban Railway Stations (Wolpyeong, Yuseong Hot Springs, Guam) for two years.
The first bus is at 6 a.m. and the last at 10 p.m. The fare is the same as the regular city bus fare: 1,250 won (750 won for teenagers, 350 won for children), and only transportation cards can be used.
Daejeon Mayor Heo Tae-jung said, “The wireless charging electric bu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business that demonstrates the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developed in Daedeok Special District, a key growth engine of Korea, rather than a simple public transportation function.” “The future developed in our region We ask for your interest in Ollev, a futuristic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thod, so that technology can expand beyond Daejeon to the whole country and the world.”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대전충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