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停車)중 고출력 무선충전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 표준화 회의를 15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카이스트, 현대차, 와이파워원 등 국내 대학·기업 전문가와 미국, 독일, 스위스, 이스라엘 등 7개국 해외 전문가를 포함한 30여명이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무선충전은 주차와 동시에 주행 중에도 충전할 수 있는 차세대 충전방식이다. 세계 각국이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와 일본이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안한 3종, 일본이 제안한 3종 등 6종의 국제표준안에 대한 기술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정차중 무선충전 기술은 일본이 3종의 표준안을 제안하면서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왔지만 일본의 표준안은 출력 11㎾ 이하의 무선충전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어 기술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11㎾는 아파트 등에 설치한 완속 유선충전기(7㎾)와 유사한 수준의 출력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급속충전기 수준의 50㎾W 이상 고출력 무선충전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안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하고 혁신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표준안은 지난해 말 국제표준 제정의 첫 관문인 신규작업과제(NPl) 채택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우리나라가 프로젝트팀 의장을 맡아 국제표준 제정 절차를 이끌고 있는 만큼 우리 기술인 타원형 코일 방식이 국제표준에 반영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 우리나라는 전기차 무선충전의 또 다른 혁신 기술인 주행 중 충전 분야에서 2종의 국제표준안을 제안하며 이 분야 국제표준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표원은 오는 7월에도 전기차 무선충전 국제표준화회의를 개최해 우리가 제안한 주행중 무선충전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주행 중 무선충전은 고정 노선을 순환 운행하는 버스 등에 우선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행 중에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전기차 보급 확산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훈 국표원장은 “정차 중 고출력 충전, 주행 중 충전 등의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전기차 무선충전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게 됐다”며 “전기차 무선충전 인프라에 대한 자동차 관련 기업의 관심이 커지고 있어 국제표준을 선점해 우리 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